본문 바로가기

들꽃/9월160

애기나비나물 분포; 제주도(한라산) 잎은 어긋나기하고 2개의 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달걀 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15mm내외이고 양끝은 뾰족하고 다른 한쪽은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6ㅡ9월에 피고 잎잠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소수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꽃부리는 나비모양이다. 2023. 9. 30.
애기닭의장풀 닭의장풀과 비슷하나 꽃이 훨씬작고 색이 연한 하늘색 또는 분홍색을 띤 하늘색이다. 꽃은 포에 싸이고 꽃받침 3장 꽃잎은3장 .밑의1장은 희고 좁은 달걀 모양. 위쪽2장은 하늘색 난원형 이다.수술과 헛수술이다. 2023. 9. 26.
어리연 꽃이 지기전에 외롭게 한송이지만 담아본다. 2023. 9. 26.
갯사상자 갯바위에 작은 꽃이피어 있어 담고 왔지만 정확하게 정명을 잘 몰랐었다 미나리 향이 많이 나기에 돌미나리 인가 했었다.(꽃친이 정명을 알려준다) 감사 합니다. 꽃은 8ㅡ9월에 피며 백색이고 긴 산경끝에 10개의소산화서가 달리는 겹우산모양꽃차례며 소산경은 길이5ㅡ10mm이고 꽃자루는길이2ㅡ4mm 이며 총포및소총포는 선형이고 길이2ㅡ5mm이다 꽃잎은 5개로서 안쪽으로 굽으며 수술도5개이고 씨방은 하위이다. 2023. 9. 26.
이질풀 잎은 마주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장상으로3ㅡ5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흔히 흑색 무늬가 있고 폭3ㅡ7cm로서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비스듬히 선 곱슬털이 있다. 열편은 거꿀달걀모양 둔두이고 얕게 3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에 불규착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서로 떨어진다. 개화시기 8ㅡ9월 2023. 9. 23.
흰여뀌 전국 각처에 분포 한다. 꽃은 5ㅡ9월에 개화. 2023. 9. 23.
자라풀꽃 잎은 원형이고 기부는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지름3.5ㅡ7cm로서 양면에 털이없으며 뒷면 중앙부에 기포가 있어서 물에 뜨기 쉽고 거북등처럼 생긴 그물 눈이 있다 . 엽병이 기부에 탁엽이 있다. 탁엽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2.5ㅡ3.5cm이며 잎 겨드랑이에서 유엽이 돋는다. 뜻하지 않은 곳에서 이렇게 고운 아이를 만났다. 잎이 단풍이 들기 시작해서 조금 늦게 만난것 같으지만 그래도 꽃이 많이 피어 있었다. 2023. 9. 23.
석산(꽃무릇) 2023. 9. 23.
새콩 유사종: 돌콩에 비해서 잎은 타원상 피침형이 아니라 난형으로서 더욱 둥글고 꽃은 잎 겨드랑이의 비교적 긴 자루가 있는 총상꽃차례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므로 돌콩과 구분 돤다. 씨앗이 들어 있는 열매와 꽃을 담아서 행운이었다. 2023. 9. 23.